반응형
SW Globalization과 테스팅 교육을 수강했었는데, 용어가 헷갈려서 다시 정리해본다.
- Globalization (G11N) - 세계화
- Internationalization (I18N) - 국제화
- Localization (L10N) - 현지화
위와 같은 용어가 나타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인터넷이다.
세계화의 필요성
- 수익을 증대할 필요, 기회
- 고객 만족에 기여
- 비즈니스 리스크 분산 (국내 시장 포화로 인해)
가장 흔한 사례로 게임을 들 수 있다.
게임은 문화 컨텐츠이므로 현지화(L10N)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게임의 현지화로 번역, 지역 문화에 맞는 이벤트, 현지 분위기 그래픽 적용 등이 있다.
제품에 따라 필요한 국제화나 현지화 수준이 다르다는 것 인지해야 한다.
ㄴ 진출 지역의 사용자와 소통하며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제품에 반영하는 전략이 중요
Globalization(G11N)
- 세계 시장의 사용자들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획단계이자 국제화와 현지화를 포함하는 총체적인 사이클
- 제품을 현지화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즉 국제화 한 다음 그 위에 다양한 언어/문화권 이용자에게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현지화하여 제공하는 절차를 의미
Include
- 세계 시장 조사 및 발굴
- 시장 검증 및 선택
- 글로벌 비즈니스 요구사항 파악/식별 공식화
- 언어 번역/ 문화 통합
- 기술 표준 및 솔루션 식별
- 마케팅 및 기술자산 재사용을 위한 유사성 식별
Internationalization(I18N)
- 각기 다른 언어/문화권에 따른 다양한 변형이 용이하도록 제품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기술적인 절차
- MS office 97 -> 2000, Single exe 사례 설명
Include
-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쉽게 변형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 텍스트 레이블을 그래픽 이미지로
- 언어 번역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언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UI공간 허용 + UI Auto-sizing
- 그래픽 이미지에서 언어 요소 분리
- 전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예시 사용 (페이스북 Like)
- 유니코드 지원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 산업 표준)
- 코드로부터 리소스 분리
- 언어 입력 및 표시, 날짜 및 시간 표기, 문자 정렬 순서, 데이터 교환 등이 용이하도록
Localization(L10N)
-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특정한 언어나 문화 그리고 현지의 정서에 맞추는 과정
- 제품을 특정 언어/문화권에 적합하도록 변형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의 언어, 문화, 관습에 맞게 리소스/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제품에 결합
- Office 사례 : rkskek -> 가나다
Include
- 텍스트, 소스코드, 웹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컨텐츠 번역
- 문화적 특성에 맞게 그래픽 수정
- 이후 현지 고객 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