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관리기술사/소프트웨어공학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알로그
2025. 4. 15. 13:09
반응형
폭포수 모델이란?
폭포수 모델은 개발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각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으며, 마치 폭포수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한 단계가 끝나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 주요 단계
- 요구사항 분석 – 사용자 요구를 명확하게 정의
- 설계 – 시스템 구조 및 세부 설계
- 개발 – 설계서를 기반으로 코딩
- 테스트 – 소프트웨어 품질 검증
- 배포 – 운영 환경에 설치
- 유지보수 – 배포 후 오류 수정 및 개선
✅ 장점
- 개발 절차가 명확하고 문서화가 잘 됨
- 초기 계획 수립이 잘 되어 있으면 관리가 용이
- 변경 가능성이 낮은 프로젝트에 적합
❌ 단점
- 변경에 매우 취약함
- 고객 피드백 반영이 늦음
- 작동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늦게 볼 수 있음
🔍 폭포수 모델 vs 애자일 모델 비교
진행 방식 | 선형적, 단계별 진행 | 반복적, 점진적 진행 |
요구사항 변경 | 변경 어려움 | 언제든지 가능 |
고객 참여 | 초기만 참여 | 지속적인 피드백 제공 |
문서화 | 상세한 문서 중심 | 최소한의 문서, 실용 중심 |
위험 관리 | 후기 발견 | 조기 피드백으로 빠른 대응 |
배포 시점 | 개발 후반에 전체 배포 | 매 이터레이션마다 작동 가능한 결과물 제공 |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 할까?
- 폭포수 모델이 적합한 경우
- 요구사항이 명확하고 변경 가능성이 낮은 프로젝트
- 안전성과 품질이 중요한 분야 (예: 항공, 금융, 의료)
- 문서화가 필수인 계약 기반 개발 환경
- 애자일 모델이 적합한 경우
- 요구사항이 자주 바뀌는 프로젝트
- 빠른 피드백이 필요한 스타트업이나 MVP 개발
- 고객과의 소통이 중요한 B2C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 특성, 팀 구성, 고객 요구사항에 맞는 모델을 선택해야 한다.
때로는 두 방법론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