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Kubernetes 13

쿠버네티스(kubernetes) Pod, Replica Set

쿠버네티스(kubernetes) 포드(Pod), 레플리카셋(Replica Set) 쿠버네티스의 모든 리소스는 오브젝트 형태로 관리된다. $ kubectl api-resources $ kubelctl explain pod 쿠버네티스는 명령어보다 YAML 파일을 더 많이 사용한다. 쿠버네티스는 여러 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 노드는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워커 노드에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가 생성됨 마스터 노드에는 API 서버, 컨트롤러 매니저, 스케줄러, DNS 서버 등이 실행되며 모든 노드에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프락시와 네트워크 플러그인이 실행됨 마스터 노드에서 "docker ps"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매우 많은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음 kubelet이라는 에이전트가..

DevOps/Kubernetes 2022.05.08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개발 용도의 쿠버네티스 설치 Minikube Docker for Mac/Windows 손쉽게 설치할 수 있지만 로컬 노드를 standalone 모드로 사용하기 때문에 쿠버네티스 기능을 완벽하게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여러 서버의 자원을 클러스터링해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것이 핵심 기능인데, 1개의 노드로는 이런 기능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서비스 테스트 또는 운영 용도의 쿠버네티스 설치 kops kubespray kubeadm EKS, GKE 등의 managed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과 온프레미스 서버 환경으로 나눠진다. 온프레미스에 구성한다면 인프라를 원하는 대로 구성할 수 있지만 운영 및 유지보수가 쉽지 않을 수 있다. EKS, GKE를 사용하면..

DevOps/Kubernetes 2022.05.07

쿠버네티스(Kubernetes) 요약

쿠버네티스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배포, 운영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소스 플랫폼 쿠버네티스 개요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 가능 컨테이너 개수,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설정 저장공간, 네트워크 접근 제어, 로드밸런싱 기능 설정 가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스케일 업/다운 가능 요청이 많을 때는 컨테이너 수를 늘려서 처리 능력을 높임 요청이 적을 때는 컨테이너 수를 줄여서 자원 점유율이나 요금을 줄임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무정지로 업그레이드 가능 하드웨어 가동률을 높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음 높은 유연성과 확장성 마이크로서비스화된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다양한 스펙의 서버가 혼재하는 클러수터 구성에 사용 가능 서버(노드)의 정지, 추가, 제거 용이 저장소나 로드밸런서의 동적 프로..

DevOps/Kubernetes 2021.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