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6

6+6 육아휴직 2개월차 급여 입금

벌써 육아휴직을 한 지 2개월이 지났다.육아휴직 시간은 참 빠르게 지나가고 특히 더 아깝게 느껴진다.2개월차 육아휴직 급여도 직접 신청해야 하고 방법은 이전과 동일하다. 2025.04.18 - [Daily/육아] - 6+6 육아휴직 남편 급여신청 6+6 육아휴직 남편 급여신청6+6 육아휴직 급여신청3월에 육아휴직을 시작하고 한 달이 지나서 급여신청을 했다. 참고로 6+6 육아휴직은 부모 모두 통상임금이 월 450만원 이상일 때부: 250, 250, 300, 350, 400, 450 만원보: 250, 250, 300hungc.tistory.com 1개월, 2개월 수당은 2,500,000원으로 동일하다. 그래서 나는 마찬가지로 2,500,000원이 입금되었고,와이프는 1,375,000원(이전에 받은 금액에서..

Daily/육아 2025.05.14

기업 생존을 위한 재해복구 전략 BCP, DRP, BIA

BIA, BCP, DRP, DRS, DR, ISO 22301 오늘날 기업이 예기치 못한 사고, 재해, 사이버 공격 등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전략이 있습니다.바로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BCM)이며, 그 핵심에는 DRS, DRP, BCP, BIA, ISO 22301 등이 존재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개념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시스템과 기준으로 구현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DR(Disaster Recovery)란?재해복구(Disaster Recovery, DR)는 시스템 중단이나 데이터 손실 등의 위기 상황에서 IT 서비스를 신속하게 복구하고 업무를 재개하는 전략입니다. DR은 단순한 백업이 아니라, 복구 시간(RTO)과 데이터 손실 허용범위(RPO)를 기준으로 ..

정보관리기술사 빈자리 시험접수

많은 고민 끝에 정보관리기술사 빈자리 시험을 접수했다.아직 학원 기본반이 6주 차밖에 진행하지 않았지만 시험 당일의 분위기를 느껴보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았다.본래 5월 시험은 4월 7일 ~4월 10일에 접수기간이었지만 당시에는 별 관심도 없었고, 뒤늦게 접수를 하려고 했지만 3일의 짧은 신청기간을 놓쳤었다.다행히 빈자리 접수를 시험 전 주에 접수를 받고 있었고 고민하다가 시험을 접수했다.자리가 없을까 봐 고민이었지만 생각보다 포기한 사람들이 꽤 있었나 보다 ㅎㅎ 시험 접수는 Q-Net 에서 진행할 수 있다.대학생때 정보처리기사 시험 접수한 뒤로 거의 10년만에 접속한 것 같다.https://www.q-net.or.kr/man001.do?gSite=Q [2" data-og-host="www.q-net.o..

RDBMS vs NoSQL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RDBMS(관계형 DB)와 NoSQL(비관계형 DB)의 차이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시스템의 구조적 차이부터 선택 기준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1. RDBMS와 NoSQL의 구조적 차이항목RDBMS(Relational DB)NoSQL(Not Only SQL)데이터 모델테이블 기반 (행/열 구조)키-값, 문서, 컬럼, 그래프 등 다양한 구조스키마 구조고정된 스키마 (사전 정의 필수)유연한 스키마 (필요 시 동적 변경 가능)관계 표현외래 키로 명시적 연결중첩 구조로 관계 표현 (중복 허용)확장성수직 확장 중심 (서버 성능 ↑)수평 확장 중심 (노드 추가)쿼리 언어SQL (표준화된 쿼리 언어)JSON 기반 쿼리 또는 전용 API무결성..

AI 환각현상과 RAG 기술

AI 환각현상(Hallucination)과 해결책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인공지능이 아무리 똑똑해 보여도, 가끔 전혀 사실이 아닌 정보를 그럴듯하게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처럼 AI가 거짓 정보를 실제처럼 생성하는 현상을 "AI 환각(Hallucination)"이라고 부릅니다.환각 문제의 개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I 환각현상(Hallucination)이란?AI 환각이란, 언어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정보나 틀린 사실을 진짜처럼 말하는 현상입니다.이것은 AI가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저장된 지식을 바탕으로 확률적으로 가장 그럴듯한 문장..